[3] GPT 활용 꿀팁 💡

🚀 AI 답변 속도 2배 UP! 더 빠르게 생각하는 프롬프트 기법 - Chain of Draft

지덕실 2025. 3. 18. 09:00
728x90

AI에게 "단계별로 생각하라"는 요청(Chain of Thought, CoT)을 하면 답변이 길고 시간이 오래 걸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런데 최근 연구에서는 Chain of Draft(CoD) 방식을 사용하면 더 빠르고 효율적인 답변을 얻을 수 있다고 합니다.

🧠 Chain of Thought (CoT) vs. Chain of Draft (CoD)란?

Chain of Thought (CoT) 방식

  • AI가 문제를 해결할 때 하나씩 논리를 설명하며 답변을 생성하는 방식입니다.
  • 사고 과정을 단계별로 보여주기 때문에 복잡한 문제 해결에는 효과적이지만,
    답변 속도가 느리고, 토큰을 많이 소비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Chain of Draft (CoD) 방식

  • AI가 핵심 정보만 요약해서 사고 과정을 간결하게 정리한 후, 최종 답변을 생성하는 방식입니다.
  • 토큰 사용량이 줄어들고, 응답 속도가 빨라지는 장점이 있습니다.

 


🛠 Chain of Thought vs. Chain of Draft 예시

📌 문제:

"어떤 가게에서 사과 한 개에 1,000원, 바나나 한 개에 800원, 오렌지 한 개에 1,200원이다.
사과 2개, 바나나 3개, 오렌지 1개를 사면 총 얼마일까?"

🔍 1️⃣ Chain of Thought (CoT) 방식

💡 AI의 사고 과정 (길고 자세함)

  1. 사과 1개의 가격은 1,000원, 바나나 1개의 가격은 800원, 오렌지 1개의 가격은 1,200원이다.
  2. 사과 2개의 가격을 계산한다: 1,000 × 2 = 2,000
  3. 바나나 3개의 가격을 계산한다: 800 × 3 = 2,400
  4. 오렌지 1개의 가격을 계산한다: 1,200 × 1 = 1,200
  5. 총 가격을 계산한다: 2,000 + 2,400 + 1,200 = 5,600

정답: 5,600원


⚡ 2️⃣ Chain of Draft (CoD) 방식

💡 AI의 사고 과정 (간결한 요약)

  1. 사과: 1,000 × 2 = 2,000
  2. 바나나: 800 × 3 = 2,400
  3. 오렌지: 1,200 × 1 = 1,200
  4. 합계: 2,000 + 2,400 + 1,200 = 5,600

정답: 5,600원


🚀 CoT vs. CoD, 언제 사용할까?

  CoT (Chain of Thought) CoD (Chain of Draft)
설명 방식 단계별로 논리적으로 설명 핵심 정보만 요약
응답 길이 길고 자세함 짧고 간결함
토큰 사용량 많음 (비용↑, 속도↓) 적음 (비용↓, 속도↑)
사용 목적 복잡한 논리를 풀어야 할 때 빠른 응답이 필요할 때

 

📌 결론:

  • CoT 방식은 논리적 사고 과정을 자세히 설명해야 하는 경우에 유리합니다.
  • CoD 방식은 빠른 답변이 필요한 경우, 또는 토큰을 절약하고 싶을 때 효과적입니다.

💡 AI에게 CoD 방식 적용하는 프롬프트

GPT에게 다음과 같이 요청하면 더 빠른 답변을 받을 수 있습니다.

 

🔹 프롬프트:

"단계별로 생각하되, 각 생각 단계에서 최대 5단어만 써 주세요.
생각을 마친 후 #### 이후에 답변을 작성해주세요."

 

이렇게 하면 AI가 최소한의 사고 과정을 거치면서도 정확한 답을 도출할 수 있습니다.


🔎 마무리

AI의 답변 속도와 품질을 동시에 개선하고 싶다면, CoT 대신 CoD 방식을 적극 활용해보세요.
특히 ChatGPT를 사용할 때 이 프롬프트를 적용하면 더 빠르고, 간결하면서도 정확한 답변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여러분은 어떤 방식을 더 자주 사용하시나요?

댓글로 의견을 남겨주세요! 😊

 


※ 본 페이지에는 쿠팡 파트너스 광고 링크가 포함되어 있으며, 해당 링크를 통해 구매 시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